양산시, 수돗물 독소 검출 주장 “객관적 근거 부족”
- 고도정수처리로 완벽한 정수처리, 조류독소 주 2~3회 검사로 안전 확인 -
최근 지역환경단체에서 제기한 수돗물에서 조류 독성물질이 검출됐다는 주장에 대해 양산시가 완벽한 정수처리 공정과 조류독소검사 모니터링을 하고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는 이번 조류독성 문제에 대해 2022년 대구시와 유사한 사례로 당시 MBC 방송에서 신재호 교수(경북대학교 NGS 센터장)가 필터에서 독성이 검출된 것은 사실이나 먼지, 필터 자체 또는 수돗물 등 출처를 알 수 없다고 밝혔다.
환경단체에서 경북대학교에 검사 의뢰한 필터는 동면 석산신도시(A아파트), 사송신도시(B아파트) 2곳으로 모두 신도시정수장에서 공급되고 있으나 A아파트에서만 남세균DNA 및 극미량의 독성물질이 검출되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고, 낙동강유역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 양산시 합동으로 B아파트에 대한 수돗물 역학조사 결과 독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A아파트의 경우 환경단체로부터 위치를 확인 할 수 없어 역학조사를 하지 못했다.
독성 검출 농도 또한 LC-MS/MS(엘씨매스매스)법으로 0.1ng/filter 라고 하였는데, 세계보건기구(WHO) 먹는물 기준은 1,000ng/L(총마이크로시스틴)이고 우리나라 감시항목 수질기준은 1,000ng/L(마이크로시스틴 6종)으로 필터가 녹색으로 변색되는 기간을 30일로 추정하고 해당 필터에 하루 10L의 물을 흘렸다고 가정했을 때 0.00033ng/L로 이는 수질기준의 약 3백만분의 1에 해당하는 극미량의 농도이다.
실제 먹는물 수질검사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LC-MS/MS법에 의한 정량한계는 50ng/L이며 정량한계는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는 최소 농도를 의미하는데 정량한계 미만은 ‘불검출’로 표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양산시는 완벽한 고도정수처리 공정을 갖추고 수질검사기관으로서 조류독소에 대한 수질 모니터링 또한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 공식자료에 따르면 공정별 독소 저감은 응집/침전/여과 90~95%, 염소산화 70~100%, 입상활성탄 90% 이상, 오존산화 100%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양산시는 이 모든 공정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수돗물 조류독소물질 검사에 대해서도 많은 인력과 예산을 들여 먹는물 수질검사기관을 운영중으로 법적기준보다 강화해 관리하고 있어 안전한 수돗물임을 확인하고 있다.
|
구 분 |
법적 검사주기 |
양산시 실제 검사 |
비 고 |
|
평 상 시 |
반기 1회 |
주 1회 |
검사결과 홈페이지 게재 (검사방법: LC-MS/MS) |
|
조류경보제 발령 |
주 1회~3회 |
주 2회 ~ 4회 |
또 시는 환경단체 1차 기자회견(`25.9.29.) 이후 시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불안 해소를 위해 동면 이장단 설명회(`25.10.13.)를 가졌으며, 주간 조류독소검사 결과는 시 홈페이지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해 오고 있다.
양산시는 이 외에도 수도시설 블록화사업(`20~25년), 신도시정수장 증설(`24~`27년, 분말활성탄 공정 추가), 광역취수시설 설치(`24~`27년), 수돗물 모니터단 운영(`15년~), 복지 영·유아시설 무료수질검사(`24년~), 경로당 급수공사비 지원 및 요금감면(`25~26년), 법정 수도시설 관리자교육 유치(`25년, 강사섭외 어려움으로 공무원이 직접 강의) 등 부족한 인력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인 노력으로 양산시민의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