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에 양산시 수돗물 안전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에 양산시 수돗물 안전
  • 윤병수 기자
  • 승인 2021.05.17 1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으로 수돗물 염분 피해 선제 대응 -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염분 모니터링ⓒ양산타임스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염분 모니터링ⓒ양산타임스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염분 모니터링ⓒ양산타임스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염분 모니터링ⓒ양산타임스

환경부는 지난달 4월 26일부터 4월 29일까지 4일 동안 총8회 12시간 동안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개방했고, 향후 5월 11일부터 11월 7일까지 기간 중에 4회에 걸쳐 총 52일간 개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굿둑에서 양산시 신도시취수장까지 거리는 25㎞인데 4일간 개방결과 5㎞ 서부산낙동대교 지점까지 염분이 올라오는 것으로 파악됐다.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면 낙동강 하류 기수생태계 복원으로 생활환경 측면에서는 나아질 수 있으나 염분이 유입되면 수돗물 생산에는 시설부식과 수질기준 초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양산시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신도시취수장에 예산 2천만원을 투입하여 염분측정기를 설치해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고, 일정농도 이상 염분이 검출될 경우 알람기능을 탑재하여 시설운영자들이 취수를 중단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되어있다.

또 환경부도 바닷물 유입에 대한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하굿둑에서부터 낙동강수계 최남단에 있는 양산시 신도시취수장까지 중간 16개 지점에 염분측정기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중이며 수자원공사는 하구통합운영센터도 운영하여 비상상황 시 비상연락망을 통하여 각 지자체에 전파할 계획이다.

양산시 관계자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으로 수돗물생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환경부에 기수구역 조성범위를 상수원 피해가 없는 하굿둑 상류 10㎞ 지점까지 지정 요청 중”이라며 “염분 모니터링을 철저히 하여 먹는물 안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양산타임스=윤병수 기자 yangsantimes@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