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장군은 2일 오전 9시 군수 주재로 부군수, 실·국·과장, 5개 읍·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월간업무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기장군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그린뉴딜 정책에 대비해 선제적인 행정정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기장군수는 “서울 중구형 돌봄교실에 대한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다. 코로나19 사태로 긴급돌봄 대란이 일어났을 때 중구는 안정적으로 돌봄교실을 운영해 혼란을 피할 수 있었다. 정말 바람직한 모델이다”며 “인구절벽 시대의 해법은 아이를 낳을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정부와 지자체가 만들어야 한다. 획일적으로 정부, 지자체 사업으로 구분하지 말고, 교육청과 지자체가 상호 윈윈해서 좋은 모델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중구형 돌봄교실 모델보다 한 차원 높은 기장의 여건과 환경에 맞는 모델을 만들어 관내 신설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할 수 있도록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기장군수는 “미래형 고부가가치 국가 신산업인 수소경제 육성에 발맞춰 전북 완주군에서 ‘수소신산업팀’을 꾸리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우리도 이러한 점을 배울 필요가 있다.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할 수 있는 부분은 없는지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기장군은 빠른 시일 내 중구청을 방문하여 돌봄교실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해 법적근거 등을 살펴 기장 맞춤형 돌봄교실의 도입·운영 가능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서울 중구형 돌봄교실은 학교에서 장소를 제공하고, 구가 돌봄교사 인건비 등 비용을 지원하여 오후 8시까지 운영하는 구 직영 돌봄교실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인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며 비용은 전액 무료다.
또한 완주군청도 방문하여 미래 성장동력인 수소산업에 대한 완주군의 대응방안을 벤치마킹을 해 우리군에 접목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도 검토할 예정이다.